[2025년 7월 4주] 잉크픽 ㅣ 수치가 '아쉬운' 영상 그리고 수치가 '궁금한' 영상
잉크닷 픽(pick)은 주간 단위 중앙행정기관의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분석하며 잉크닷 에디터가 눈여겨 본 콘텐츠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새로운 유형, 시도 또는 다른 영상과 차별된 부분이 보이는 영상을 선택하며 그 이유와 성과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잉크픽은 한 주간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 중 눈에 띄는, 그래서 공유하고 싶은 영상을 골라 소개하는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그게 목적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최근에는 쇼츠 중심의 영상 운영이 진행되고 있어서인지 일반영상에서는 크게 눈에 띄는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아니면 여느 콘텐츠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잘 만든 콘텐츠에 어느새 익숙해져 버린 것일 수도 있겠네요.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콘텐츠의 짧은 소비 주기와 익숙해짐에 대해서는 깊은 이야기를 해보고 싶기도 하네요.
이번 주에도 좋은 영상 콘텐츠를 소개하면 참 좋았겠지만, 다소 아쉬운, 그리고 의문과 함께 궁금함이 생기는 영상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다만, 수치 성과를 중심으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잘했다, 잘 못했다를 이야기하는 것은 절대 아니라는 것을 꼭 말씀 드립니다.
규모에 비해 너무 아쉬운 수치 성과, 원인이 뭘까?
첫 번째로 소개할 영상은 환경부의 <2025년 1학기 도전! 탄생 골든벨 | 낙동고등학교 편>입니다. 영상을 보는 순간, 과연 이 정도 규모의 영상이 유튜브에서 단 한 번만 소비되는 게 과연 맞은 것일까? 라는 의문과 걱정이 동시에 생깁니다. KBS에서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도전! 골든벨>을 패러디해서 부산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사한 형태로 진행한 것인데요. 많은 학생들, 제작진, 카메라, 그리고 연예인MC 등등, 이 영상에 투입된 리소스는 대충 훑어 보기만 해도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정도로 심혈을 기울인 영상은 얼마나 성과를 만들어 냈을까요? 해당 영상은 7월 24일에 게재되었으며, 잉크닷 모니터링은 7월 27일에 진행되었습니다. 게재 후 3~4일 정도의 시간이 흘렀고, 어느 정도 수치 성과를 확보했다고 기대할 수 있겠지만, 모니터링 시점을 기준으로 조회수는 366회에 불과했습니다. 조회수는 14개였고, 댓글은 없었습니다. (이후 31일 기준으로 확인해보니 조회수는 3.4천회, 댓글은 158개로 급증했습니다. 이벤트의 영향이 적지 않아 보입니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를 했고, 재미 요소까지 포함되어 퀴즈 프로그램을 진행했음에도 수치 성과가 적지 않은 건, 공공기관 유튜브 채널에 대한 낮은 관심이 기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겠지만, 더불어 게재 시점부터 한 동안 확산활동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정도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획부터 많은 시간을 기울였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게재하고 확산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바로 연계된 활동이 이어졌어야 합니다. 공공기관 유튜브 채널의 영상이 자발적으로 확산되기는 너무나 어렵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놀라운 것은 이 정도 리소스의 영상임에도 재생시간이 불과 3분 20초 밖에 되지 않는 것도 의문입니다. 영상 재생시간이 길다고 해서 잘 만들었다고 평가하긴 어렵습니다. 오히려 상당한 촬영분량을 이 정도로 짧은 시간으로 편집했기에 매우 잘 만들었다 라고 이야기 할 수도 있겠습니다. (저로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
그럼에도 상당히 많은 내용이 담겼을 수 있었을텐데, 이러한 부분을 모두 잘라내고 재생시간 3분대로 짧게 편집한 건, (지극히 개인적으로) 오히려 정보를 단편적으로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소가 차단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습니다.
조회수 대비 높은 좋아요 비율, 비결이 궁금합니다.
다음에 살펴볼 영상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대한민국 가축방역,게임 체인저가 되다! | 예고편 | 다큐ON> 영상입니다. 이 영상을 고를 이유 역시 수치 때문입니다. 해당 영상은 KBS 다큐프로그램의 짧은 예고편으로, 잉크닷 모니터링 시점 기준으로 영상의 조회수는 580회에 불과합니다. 가축방역이라는 다소 접근성이 낮은 소재이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조회수이기도 합니다.
에디터가 의문을 가진 것은 바로 좋아요 수치입니다. 조회수가 580회에 불과한데, 좋아요 수는 209개. 댓글은 2개입니다. 조회수 대비 좋아요 수치의 일반적인 비율과는 너무나 차이가 나는 것과 함께 조회수가 적은 것은 관심이 적다는 의미일텐데, 그럼에도 다른 높은 조회수의 영상보다 많은 좋아요 수가 달렸습니다.
에디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이렇게 좋아요 수치를 이끌어 낼 방법을 도저히 생각해 낼 수 없습니다. 이 영상이 왜, 어떻게 좋아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는지, 혹시 아시는 분이 있다면 에디터에게 살짝 설명해주시면 참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