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주] 지자체 ㅣ 한 주에 26건 영상 올리는 서울시, 어떻게 가능한걸까?

숲 via 장재섭
숲 via 장재섭

최근에는 지자체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에 게재된 영상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됩니다. 지방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 중 광역자치단체의 유튜브을 모니터링 합니다. 지자체에서 제작하는 영상이 중앙행정기관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2025년 9월 2주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총 110건의 영상이 게재되었으며 전 주 대비 17건 감소했습니다. 더불어 영상을 게재한 기관 수도 소폭 증가했습니다.
  • 영상 수의 증가와 함께 조회수 등 상세 수치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특히 일반영상의 좋아요 수가 크게 상승했음을 알 수 있으며 쇼츠영상은 지난 주와 유사한 수준의 조회수를 유지한 가운데, 좋아요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를 좀 더 분석해보면, 일반영상의 경우 광고를 통해 조회수를 크게 이끌어 냈다고 짐작해볼 수 있으며, 쇼츠영상은 좋아요 수의 증가를 통해 공감받을 수 있는 소재의 영상이 많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전체영상 수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총 26건으로 가장 많은 수의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이는 중앙행정기관을 포함해도 월등히 많은 영상 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유튜브의 경우 일반영상이 10건, 쇼츠영상이 16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영상 중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가 10건 이상의 영상 수를 기록했습니다.
  • 일반영상은 충청남도가 16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 중 13건이 컨퍼런스 영상이었습니다. 뒤를 이어 서울시가 10건의 일반영상을 게재했습니다. 쇼츠영상 중에서는 서울특별시가 1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전광역시 5건과 큰 격차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 2025년 9월 2주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의 조회수 분석 결과, 인천광역시의 <[1,500원으로 섬 마실?!] 인천 바다패스|섬은 이제 여행이 아닌 일상입니다>이 수집일 기준 11만 회 이상으로 가장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인천시에서 시행하는 인천바다패스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광고 영상으로, 전체적으로 구성 및 내용 역시 광고영상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좋아요 수와 댓글 수를 보면 광고를 다수 집행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정책 수요자를 대상으로 폭넓은 홍보를 위해 이러한 광고 집행은 필요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좋아요 수와 댓글 수의 경우 서울특별시의 <"서울의 밤🌃이 ✨빛나는 이유"  (BGM. PLAVE (@plave_official 플레이브) - Chroma Drift) | 전지적서울시점 8 [4K Drone✈]> 영상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해당영상은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와 협업하여 제작된 영상으로, 전반부에는 플레이브가 노출되며 뒤를 이어 실사 영상이 이어지는 구성입니다. 이들 수치는 플레이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좋아요와 댓글에서 서울시 영상이 상위에 다수 포진되어 있는 것도 눈에 띄는 부분입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